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

주메뉴

IBS Conferences
인간 뇌에서 영감 얻은 AI, 한계를 뛰어 넘다

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인간 뇌에서 영감 얻은 AI, 한계를 뛰어 넘다뇌의 시각 처리 원리 본뜬 AI 이미지 인식 기술 개발Read More

Prev Next Pause Start

Featured

date2025-04-22인간 뇌에서 영감 얻은 AI, 한계를 뛰어 넘다
인간 뇌에서 영감 얻은 AI, 한계를 뛰어 넘다
뇌의 시각 처리 원리 본뜬 AI 이미지 인식 기술 개발
date2025-04-14치매로 기억 흐려지는 이유, 뇌 속 별세포에서 찾았다
치매로 기억 흐려지는 이유, 뇌 속 별세포에서 찾았다
IBS 연구진, 치매 기억 손상 조절하는 단백질 ‘SIRT2’ 규명
date2025-04-04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
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
IBS RNA 연구단, mRNA 백신의 전달・분해를 제어하는 단백질군 발견
date2025-03-31좌뇌는 논리, 우뇌는 감정? 공감의 비밀 우뇌에서 찾았다
좌뇌는 논리, 우뇌는 감정? 공감의 비밀 우뇌에서 찾았다
IBS, 연구진, 타인의 고통에 대한 공감 반응 조절하는 핵심 신경회로 규명
date2025-03-26운동 중 뇌, 청각 차단한다?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감각정보처리
운동 중 뇌, 청각 차단한다?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감각정보처리
뇌에서 시각·청각 정보가 통합되는 과정이 행동에 따라 달라지는 원리 밝혀내
date2025-03-11영화 속 주인공 시련에 가슴 저릿한 이유, 뇌 공감 회로에 있다
영화 속 주인공 시련에 가슴 저릿한 이유, 뇌 공감 회로에 있다
IBS 연구진, 타인의 고통 느끼는 정서적 공감 메커니즘 규명 공감 능력 장애 및 사회성 관련 신경정신질환 치료 연구에 새로운 단서 제공
date2025-03-05통증과 가려움 느끼는 뇌 속 ‘갈림길’ 찾았다
통증과 가려움 느끼는 뇌 속 ‘갈림길’ 찾았다
IBS 연구진, 통증과 가려움의 독립적 신경회로 규명 통증과 가려움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확인
date2025-02-13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!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
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!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
별세포의 칼슘 신호 조절해 신경회로 재구성·뇌 기능 회복 유도
date2025-02-13기후 변화가 뎅기열 확산 가속한다
기후 변화가 뎅기열 확산 가속한다
IBS-KAIST, 수학 모델로 기후 변화가 뎅기열 발병에 미치는 영향 분석
date2025-02-06원자력 발전소에서 찾는 암흑물질, 우주의 비밀 밝힌다
원자력 발전소에서 찾는 암흑물질, 우주의 비밀 밝힌다
IBS 주도‘네온(NEON)’실험, 한빛 원전서 성공적으로 구현
date2025-02-0460년 만에 풀린 이론··· 세계 최초 1차원 양자 금속 구현
60년 만에 풀린 이론··· 세계 최초 1차원 양자 금속 구현
이황화몰리브덴 활용해 60년 전 제시된‘루팅거 액체 이론’ 최초 실험 증명 IBS 반데르발스 양자 물질 연구단, 대규모 양자 소자 기술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 열 것
date2025-02-03같은 영화를 보고 더 잘 기억하는 이유, ‘해마’로 밝혔다
같은 영화를 보고 더 잘 기억하는 이유, ‘해마’로 밝혔다
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, 자기공명영상(fMRI) 활용해 해마의 기억 조율자 역할 규명
date2025-01-20퇴행성 신경질환 치료, 단백질 공학에서 해법 찾았다
퇴행성 신경질환 치료, 단백질 공학에서 해법 찾았다
date2025-01-20DNA 복제 재개 조절하는 ‘스위치 단백질’ 찾았다
DNA 복제 재개 조절하는 ‘스위치 단백질’ 찾았다
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, DNA 손상 우회에 관여하는 단백질 규명
date2022-05-18피 한 방울로 암 진단 가능한 바이오센서 개발
피 한 방울로 암 진단 가능한 바이오센서 개발
- 혈액·소변 등 생체시료 전처리 없이 현장진단기기로 직접 분석 - - 암·감염병 등 다양한 질병 조기 발견 가능 -
date2022-05-03소리로 효소반응을 조절하다
소리로 효소반응을 조절하다
- IBS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, 소리로 다단계 효소반응 조절 - - 생체 시스템 모방 연구, 신물질 합성 등 다양한 응용 기대 -
date2022-04-27‘합-주파수 생성 분광법’기술을 이용한이차원 기능성 물질 표면의 습윤성 측정
‘합-주파수 생성 분광법’기술을 이용한이차원 기능성 물질 표면의 습윤성 측정
그래핀 계면 특성의 미시적 이해
date2022-04-26섬유화 메커니즘 연구에 새로운 방향 제시
섬유화 메커니즘 연구에 새로운 방향 제시
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‧‧‧ 물에서의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섬유화 메커니즘 분자 수준에서 규명

Popup Zone

  • The 29th International Nuclear Physics Conference
INPC 2025
May 25-30,2025
DCC, Daejeon, Korea
inpc2025.org

Research CentersOpenclose